부부란 두손과 같답니다 부부란 두 손과 같답니다 왼손이 아프면 오른손이 어루만져 주고 오른손이 아프면 왼손이 어루만져 준다. 왼손이 가려우면 오른손이 긁어 주고 오른손이 가려우면 왼손이 긁어 준다. 오른손에 때가 묻으면 왼손이 닦아 주고 왼손에 때가 묻으면 오른손이 닦아 준다. 오른손에 무엇을 잡.. 좋은글 2013.03.11
명심보감 / 성심편 구 花落花開又落 (화락화개우락)하고 錦衣布衣更換着 (금의포의갱환착)이라. 豪家未必常富貴 (호가미필상부귀)요 貧家未必長寂寞 (빈가미필장적막)이라. [해의] 꽃이 졌다 꽃이 피고 또 핀 꽃이 다시 지며, 비단옷을 삼베옷으로 다시 바뀌어 입을수도 있느니라. 부호의 집도 항상 반드시 부.. 좋은글 2013.03.07
그냥하는 전화 한통화 식당에서 식사를 기다리는 중이었다. 옆 식탁에 있는 한 사람이 작은 목소리로 전화를 한다. “아버지 저예요. 별일 없으시지요? 점심 잡수셨어요?” 전화 저편의 아버지께서 별일 없다고 답이 온 것 같다. “그냥 전화했어요. 조금 있다 들어 갈께요.”하고 전화를 끊는다. 옆에 있던 친.. 좋은글 2013.03.04
인생은 바람이요 구름이어라 그 누가 날더러 청춘이 바람이냐고 묻거든 나..그렇다고 말하리니.. 그 누가 날더러 인생도 구름이냐고 묻거든 나..또한 그렇노라고 답하리라.. 왜냐고 묻거든 나..또 말하리라.. 청춘도 한번 왔다 가고 아니 오며 인생 또한 한 번 가면 되돌아 올 수 없으니 이 어찌 바람이라 구름이라 말하.. 좋은글 2013.02.22
삼계도(三計圖) / 명심보감 구 一生之計(일생지계)는 在於幼(재어유)하고 一年之計(일년지계)는 在於春(재어춘)하며 一日之計(일일지계)는 在於寅(재어인)이다. 幼而不學(유이불학)이면 老無所知(노무소지)요 春若不耕(춘약불경)이면 秋無所望(추무소망)이요 寅若不起(인약불기)면 日無所辦(일무소판)이니라. 일생의 .. 좋은글 2013.02.20
알아야 할 생활예절 알아야 할 생활예절 잊혀져 가는 귀중한 생활예절의 자료 입니다. 가가예문이라 하여 문중마다 조금식 달리하는 경우가 있지만 기본적 예절은 대동소이 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각 항목을 클릭하시면 내용을 보실수 있습니다 촌수 따지는 법(계촌법) 예절이란 무엇인가? 호칭과 지.. 참고자료 2013.02.11
본성(本性)을 찾아라 사람의 본성(本性)은 하늘로 부터 받았다하여 천성(天性)이라 하고 혹은 자성(自性) 이라 하지요. 이것은 세상의 모든 종교가 똑같이 설명하고 있기도 합니다. 우리의 본성은 더럽혀 지지 않은 순수심(順脩心) 으로 욕심도 거짖도 성냄도 없는 맑고 청정한 마음이랍니다 . 그런데 우리의 .. 자작 글방 2013.02.05
채근담 이야기 사람들은 무엇이든 소유하기를 원한다. 그들은 눈을 즐겁게 해 주는 것. 그들의 귀를 즐겁게 해 주는 것, 그리고 그들의 마음을 즐겁게 해 주는 것이면 가리지 않고 자기 것으로 하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남의 것이기보다는 우리 것으로, 그리고 또 우리 것이기보다는 내 것이기를 바란다... 좋은글 2013.02.01
삶의 지혜 삶의 지혜 작자 미상의 시 한 편이 있습니다. 삶의 지혜를 구하는 인간에게 신이 답하는 내용입니다. 한 사람이 자녀를 위한 가르침을 신에게 구하였고, 신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다른 사람과 너 자신을 비교하는 것이 좋지 않다는 것을.” “To learn that it is not good to compare themselves to o.. 좋은글 2013.01.28
의상조사 법성계(義湘祖師 法性偈 ) 법성계(法性戒)는 신라의 고승 의상조사(義湘祖師)께서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을 그 진수(眞髓)만을 모아서 칠언절구(七言絶句) 30구절(句節) 총 210자로 요약한 경구(經句)이다 法性圓融無二相(법성원융무이상) 법의성품 원융하여 두 모양이 본래없고 諸法不動本來寂(제법부동.. 법문모음 2013.01.27
소동파의 오도송(蘇東坡의悟道頌) 소동파의 오도송 溪聲便是 長廣舌 (계성변시 장광설) 계곡 물소리는 모두가 부처님 법이며 山色豈非 淸淨身 (산색기비 청정신) 산천초목은 청정법신 비로자나 부처님 아닌가? 夜來八萬 四千偈 (야래팔만 사천게) 하룻밤 사이에 팔만사천 법 깨달았는데 他日如何 擧似人 (타일여하 거사인.. 한시모음방 2013.01.22
발심수행장 절록 (發心修行章 節錄) [창공을 나는 저 기러기떼도 가야할 방향을 알고날지요] 雖有才學 無戒行者 如寶所導而不起行 수유재학 무계행자 여보소도이불기행 雖有勤行 無智慧者 欲往東方而向西行 수유근행 무지혜자 욕왕동방이향서행 有智人 所行 蒸米作飯 유지인 소행 증미작반 無智人 所行 蒸沙作飯 무지인 .. 법문모음 2013.01.11
둥근마음,둥근삶 내가 발딛고 선 지구가 둥글고 머리위에 빛나는 해와달이 둥근이유는 사람이 둥글게 살아야 한다는 표상이 아닐런지요 모난마음, 모난말,모난행동이 절제되고 마음이 부드럽고, 넓고크고, 둥글면, 나의 삶이 그렇게 트여질것입니다 새해 계사년에는 모나지 않는 삶을 위하여 둥근 마음.. 자작 글방 2013.01.03
임진년 석양에 임진년 ! 붉은노을로 지는 석양(夕陽)앞에 섭니다 삼척(三尺)앞을 내다보지 못하고 탐욕(貪慾)에 찌든 한해를 반성합니다 입으로만 외운 공염불이 진리(眞理)앞에 한없이 부끄러운 자신입니다 평범하고 고요한 일상이 더없는 행복인것을 알지못하고 크다란 요행(僥倖)을 찾아 두리번 거.. 자작 글방 2012.12.24
펭귄의 부성애(父性愛) 남극의 펭귄은 알을 낳을 때 아빠의 발 등 위에 낳는다고 합니다. 아빠 펭귄의 발등에는 털이 나 있어서 극심한 추위 속에서 알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알이 부화할 때까지 60일 동안 꼼짝하지 않고 서있습니다. 알이 부화한 뒤에도 새끼들의 털이 자랄 때까지 아빠 펭귄의 .. 좋은글 2012.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