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글

귀가 없는 사람들

덕전(德田) 2015. 7. 13. 23:38

 

 


한문의 들을청(聽)글자를 보면 여러 부수가 모여 구성되어 있습니다.
귀 이(耳), 임금 왕(王), 열 십(十), 눈 목(目), 한 일(一), 마음 심(心)
이렇게 여섯 글자가 합하여 들을 청(聽)을 만들었는데 그 뜻이 너무 감동적입니다.
귀 이(耳)와 임금 왕(王)이 합하여 듣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의미이고,
옆의 열 십(十)과 눈 목(目)은 열 개의 눈으로 보듯 하고,
하나 일(一)과 마음 심(心)은 하나의 마음으로 들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공자는 ‘눌언민행(訥言敏行)’이라 하여
말은 사려 깊게 하고 행동은 민첩하게 하라고 했습니다.
성경에서도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 하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동양에서는 ‘역지사지(易地思之)’라 하여 상대방의 입장에서
내가 행동해야 할 자세를 가지라 했고,
서양에서는 ‘정언명법(定言命法)’이라 하여 내가 하는 행동이
남이 따라 해도 무방하다면 해도 된다는 도덕적 가치가 존재합니다.
칸트는 이러한 철학을 통해 사람의 행위가
절대적인 책임을 갖는 사회를 우선시 했습니다.
이처럼 동서양의 도덕적 가르침이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을 보면
사람 사는 세상의 근본은 어디서나 비슷한 것 같습니다.
말보다는 행동이, 행동에 앞서 경청할 줄 아는 지혜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세상이 너무 변화무쌍하여 방향감각을 잃고 삶의 지침마저 혼란스러운 때이지만
이러한 가르침이 우리 사회의 중심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사람은 짐승들과 달리 배불러야만 편하고 행복을 느끼는 존재가 아닙니다.
우리가 느끼는 행복의 비밀은 나만의 것이 아닌
이웃과 나눔의 돈독한 관계를

지속하고 그들의 말을경청 하는데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옮겨온 글입니다]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덕(德) 을 베풀어라   (0) 2015.07.21
묵자의 겸애(兼愛)사상  (0) 2015.07.17
나는 지금 행복한가  (0) 2015.07.07
현자(賢者)의 처세(處世)  (0) 2015.07.04
인생의 세가지 여유로움  (0) 201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