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재 정선 작 단발령망금강산, “辛卯年楓嶽圖帖”, 국립중앙박물관
역경지수
지능을 평가하는 수치를 지능지수(IQ)라고 한다면
역경을 극복하는 능력은
‘역경지수(AQ, Adversity Quotient)’로 표현합니다.
미국의 커뮤니케이션 이론가 폴 스톨츠가 만든 이론입니다.
스톨츠는 역경지수를 등반에 비유했습니다.
난관에 부닥쳤을 때 포기하고 내려오는 사람이 있다면
적당한 곳에서 캠프를 치고 안주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를 극복하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사람이 있는데
이러한 유형의 사람이 역경지수가 높다고 설명합니다.
그리고 앞으로 우리 사회는 그 어떤 지수보다
역경지수가 높은 사람을 필요로 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역경을 이겨내는 능력을 숫자로 표현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자신에게 주어진 고난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하나의 재능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합니다.
지능이나 감성과는 달리 역경을 극복하는 능력은
천부적인 재능이라기보다 자신의 의지에 달려있기 때문입니다.
이 세상의 모든 오르막은 끝이 있습니다.
포기하지 말고 조금만 더 오르다 보면 편안한 길을 만날 수 있습니다.
혹여, 다시 오르막을 만나더라도 두려워하지 마십시오.
당신은 당신의 의지로 강인한 정신력을 기를수 있고
역경은 반드시 극복할수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기향 추억 (0) | 2019.08.23 |
---|---|
채근담 한구절 (0) | 2019.08.20 |
논어일구 (論語一句) (0) | 2019.08.04 |
젊은 부자의 유언 (0) | 2019.07.29 |
난득호도(難得糊塗) (0) | 2019.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