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불(儒佛)을 통해 본 來世와 死生觀
우리 에게 삶과 죽음의 문제만큼 중요한 것은 없을 것이다.
우리가 죽은 후에는 래세(來世)니.... 저승이니..
하는 사후관계란 과연 있는 것일까?
있다면 그 곳은 어떠하며 우리는 장차 어떠한 모습으로
그 곳으로 가는 것일까?
더욱이 인생의 장년기에 접어든 사람이라면 누구나
죽음을 생각해 보지 않은 이가 없을 것이고,
가진 종교가 있던 없던
각각 자기 나름의 死生觀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현대인으로서의 우리는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정의 하여야 할 것인가?
멀리 석양노을을 바라보며 한 번쯤 깊은 사색에
잠겨 봄직한 일이다.
유교(儒敎)
유교에서는 천지만물이
음양(陰陽), 오행(五行)이라는 기(氣)의 집합으로 생겨나고,
또한 그 기의 흩어짐으로 없어진다고 한다(聚則生 散則滅).
사람도 예외는 아니어서 기의 모임으로 태어났다가
그 기의 흩어지는 현상이 바로 죽음이라는 것이다
.
다만 기에는 맑고 흐리고, 깨끗하고 더럽고,
순수하고 잡된 것이 있는데 사람은 그 중에서 맑고 깨끗하고
순수한 것만을 받았기 때문에 만물의 영장이 되었지만,
기의 모이고 흩어짐에 따라 생겨나고 없어지는
생성소멸(生成消滅) 점에 있어서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과 더불어 다 같은 자연의 일부라고 보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이 죽으면 혼은 날아가고 넋은 흩어진다
혼비백산(魂飛魄散)하여 날아가는 혼을 불러들이려고
망인의 체취가 배인 옷을 들고 지붕에 올라가 흔들면서
혼을 부르는 초혼(招魂)의 절차를 밟는다.
죽음 뒤에도 사라지지 않는다고 믿는 혼백(魂魄)
역시 음양의 기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시일이 지나면
마침내 흩어지는 것이고, 자연으로 돌아간 기는 다시
사람으로 태어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유교에서는 내세를 믿지 않는다.
한 번 죽으면 그만이기 때문에 자손을 통하여
代를 이어 감으로서
그 허무함을 달래고 영생의 욕구를 대신하려 한다.
대가 끊어지는 것은 영생이 단절되는 것이기 때문에
아들을 못나면 아내를 쫓아내는 칠거지악(七去之惡)이니
습속(習俗)이 생겨나기까지 했다.
그러나 生과 死를 天命(우주의 섭리)에 따른
기(氣)의 집산(集散)으로 볼 때 인간의 죽음 역시 자연의 기로 돌아감이다.
자연은 인간의 모태(母胎)요, 본래의 고향이다.
따라서 죽음은 본래의 고향으로 돌아감에 지나지 않는다.
그것은 우주 자연과의 영원한 합일(合一)이다.
우주는 영존(永存)하는 것임으로 우주와의 합일인
인간의 죽음은 인간의 변형된 영존의 시작이라 할 것이다.
불교(佛敎)
같은 동양권이면서도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는
유교와는 달리 내세관이 뚜렷하다.
죽음은 곧 다른 삶의 시작이요 종말이 아니라고 본다.
전생(前生)의 업보(業報)에 따라 금생(今生)에 태어나서
다시 업을 짓고
죽으면 그 업과(業果)에 따라 내세가 열리지만 반드시
사람으로 다시 태어나는 것은 아니다.
사람으로 또는 축생으로 각자 자기가 지은 업에 따라
윤회유전(輪廻流轉)한다.
그렇기 때문에 선업(善業)을 닦고 내세를 예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삶의 형태라고 강조한다.
그러나 사람으로 다시 태어난다고 해도 사바세계에서
생노병사(生老病死)의 사고(四苦)를 면할 수는 없기 때문에
윤회의 고리를 끊고 그 사슬에서 벗어날 것을 추구한다.
그것이 곧 해탈(解脫)이요 그래야 비로소 극락세계에 가서
부처가 되는(成佛) 것이다.
이와 같은 윤회사상은 정업(淨業)을 닦으면
서방정토에 왕생한다는 대승불교의 정토신앙(淨土信仰)으로,
마음이 맑으면 대지가 맑아진다는 선종(禪宗)의
자성미타(自性彌陀)신앙으로 발전한다.
그리하여 삶과 죽음이란 둘이 아니요 하나라는
생사일여(生死一如)의 미학으로 승화되고,
삶이란 한 조각 뜬구름이 일어나는 것이요
죽음이란 한 조각 뜬구름이 스러지는 것이라고 노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