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산서원(玉山書院) 독락당(獨樂堂)의 계정 (溪亭)]
청산곡(靑山曲)
자옥산(紫玉山) 깊은 곳에 초려(草廬) 한 간 지어 두고
반 간은 청풍(靑風)주고 반 간은 명월(明月) 주니
청산(靑山)은 들일 데 없어 둘러두고 보리라.
회재(晦齋) 이언적(1491~1553)선생은 화담 서경덕과 함께
한국적 성리학의 토대를 만든 대표적 성리학자 이시다.
선생은 평소에 날마다 세 가지를 반성하니
내 몸이 하늘을 섬김에 다하지 못함은 없는가,
임금과 어버이를 섬김에 정성되지 못함은 없는가,
마음을 지킴에 바르지 못함은 없는가.”
라는 글을 책상 위에 써 붙이고 스스로를 경계했다 한다.
선생의 삶에 대한 자세가 어떠했는지 엿볼 수 있다.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음덕자 필유양보(有陰德者 必有陽報) (0) | 2013.04.22 |
---|---|
채근담 절록(節錄) (0) | 2013.04.16 |
인(仁)은 덕(德) 중에 덕이요 (0) | 2013.04.02 |
중산층의 기준 (0) | 2013.03.28 |
진정한 박애(博愛) (0) | 201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