曲則全, 枉則直, 窪則盈, 敝則新,
곡즉전, 왕즉직, 와즉영, 폐즉신,
少則得, 多則惑. 是以聖人抱一 爲天下式.
소즉득, 다즉혹. 시이성인포일 위천하식.
不自見, 故明, 不自是, 故彰,
부자현, 고명, 부자시, 고창,
不自伐, 故有功, 不自矜, 故長.
부자벌, 고유공, 부자긍, 고장.
夫唯不爭, 故天下莫能與之爭.
부유부쟁, 고천하막능여지쟁.
古之所謂曲則全者, 豈虛言哉.
고지소위곡즉전자, 기허언재.
[解義]
굽으면 온전할 수 있고, 구부러지면 펴질 수 있다.
파이면 채울 수 있고, 낡으면 새로워질 수 있다.
적으면 얻을 것이요, 많으면 미혹될 것이다.
이 때문에 성인은 하나를 안는 것을 천하의 모범으로 삼는다.
스스로 드러내지 않기 때문에 밝고
스스로 옳다고 하지 않기 때문에 드러나고
스스로 자랑하지 않기 때문에 공이 있고
스스로 으시대지 않기 때문에 오래간다
무릇 다투지 않기 때문에 천하에서 아무도 그와 다툴 수가 없다.
굽으면 온전할 수 있다는 옛 말이 어찌 헛소리이겠는가?
진실로 온전하게 섬겨 지켜가야 한다.
곡즉전, 왕즉직, 와즉영, 폐즉신,
少則得, 多則惑. 是以聖人抱一 爲天下式.
소즉득, 다즉혹. 시이성인포일 위천하식.
不自見, 故明, 不自是, 故彰,
부자현, 고명, 부자시, 고창,
不自伐, 故有功, 不自矜, 故長.
부자벌, 고유공, 부자긍, 고장.
夫唯不爭, 故天下莫能與之爭.
부유부쟁, 고천하막능여지쟁.
古之所謂曲則全者, 豈虛言哉.
고지소위곡즉전자, 기허언재.
誠全而歸之.
성전이귀지.
[解義]
굽으면 온전할 수 있고, 구부러지면 펴질 수 있다.
파이면 채울 수 있고, 낡으면 새로워질 수 있다.
적으면 얻을 것이요, 많으면 미혹될 것이다.
이 때문에 성인은 하나를 안는 것을 천하의 모범으로 삼는다.
스스로 드러내지 않기 때문에 밝고
스스로 옳다고 하지 않기 때문에 드러나고
스스로 자랑하지 않기 때문에 공이 있고
스스로 으시대지 않기 때문에 오래간다
무릇 다투지 않기 때문에 천하에서 아무도 그와 다툴 수가 없다.
굽으면 온전할 수 있다는 옛 말이 어찌 헛소리이겠는가?
진실로 온전하게 섬겨 지켜가야 한다.
굽은 나무는 수명을 온전히 마치게 되고, 자벌레는 몸을 굽힘으로써 뻗을 수도 있게 된다.
물은 우묵한 웅덩이로 흘러 모이게 되고, 옷은 낡아 해어져야만 다시 새 것을 입게 된다.
욕심이 적으면 마음의 만족을 얻을 수 있고, 지식이 많으면 갈피를 잡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무위 자연의 성인은 하나인 도를 지켜 천하의 법이 되는 것이다.
무위 자연의 성인은 자기를 내세우는 일이 없기 때문에 그의 존재가 뚜렷해지고,
자신을 옳다 하지 않기에 그 좋은 것이 세상에 나타난다.
자기의 공을 자랑하지 않기에 그 공이 자기의 것이 되고,
자신의 우쭐댐을 버리기에 언제까지고 존경을 받게 된다.
성인은 절대로 남과 다투는 일이 없다.
그러므로 세상에 그를 적으로 대하는 사람이 없다.
옛 사람이 말하거늘 굽은 나무는 제 수명을 다한다고 했는데,
참으로 인생의 진리를 제대로 말한 것이다.
진정으로 굽은 나무가 되어 내 몸을 온전히 하고,
온전한 몸을 대자연에 되돌려 주는 것이다.
현시대를 살고있는 우리들의 사고와 어쩌면 이리도
정반대의 내용인지 마음깊히 새겨봐야 할것이다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이 들고 나는 이치 (0) | 2011.09.14 |
---|---|
비법도(非法道)면 불언행(不言行)하라 (0) | 2011.09.01 |
진정한 참회 (0) | 2011.07.26 |
고칠수 없는 불치의병 (0) | 2011.07.08 |
마음의 실체 (實體) (0) | 2011.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