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절기표
계절 |
달(음력) |
날짜(양력) |
절기(節氣) |
해설 |
봄 |
정월 |
2월 4일경 |
입춘(立春) |
봄이 시작됨 |
2월 18일경 |
우수(雨水) |
봄 기운이 돌고 초목이 싹틈 | ||
1월 입춘은 1월의 절기이고 우수는 1월의 중기이다. 동풍이 불어서 언 땅이 녹고 땅속에서 잠자던 벌레들이 움직이기 시작하면 물고기가 얼음 밑을 돌아다닌다. 수달이 물고기를 잡아다 늘어놓고, 기러기가 북으로 날아가며, 초목에서 싹이 튼다. | ||||
이월 |
3월 5일경 |
경칩(驚蟄) |
모든 벌레나 동물이 동면에서 깨어나 활동하기 시작함 | |
3월 20일경 |
춘분(春分) |
태양이 적도 위에 직사하여 밤과 낮의 길이가 같게 됨 | ||
2월 경칩은 2월의 절기이고, 춘분은 2월의 중기이다. 복숭아가 꽃이 피기 시작하고 꾀꼬리가 울며 매가 화(化)하여 비둘기가 되고 제비가 날아온다. 우뢰가 울고 번개가 친다. | ||||
삼월 |
4월 5일경 |
청명(淸明) |
날씨가 맑고 밝음 | |
4월 20일경 |
곡우(穀雨) |
봄비가 내려서 백곡이 윤택해짐 | ||
3월 청명은 3월의 절기이고, 곡우는 3월의 중기이다. 오동(梧桐)이 꽃피기 시작하고, 들쥐가 화하여 종달새가 되며, 무지개가 나타나고, 마름〔萍:개구리밥과에 속하는 다년생물풀〕이 생기기 시작한다. 산비둘기가 깃을 털고, 뼈꾸기가 뽕나무에 내려앉는다. | ||||
여 름 |
사월 |
5월 6일경 |
입하(立夏) |
여름이 시작됨 |
5월 21일경 |
소만(小滿) |
태양의 황경(黃經)이 60도일 때. 여름 기분이 남 | ||
4월 입하는 4월의 절기이고, 소만은 4월의 중기이다. 청개구리가 울고 지렁이가 나오며, 왕과(王瓜:쥐참외)가 나고 씀바귀가 뻗어 오르며, 냉이〔靡草〕가 죽고 보리가 익는다. | ||||
오월 |
6월 6일경 |
망종(芒種) |
보리는 익어 먹게 되고, 볏모는 자라서 심게 됨 | |
6월 21일경 |
하지(夏至) |
태양이 북회귀선에 이른 때. 낮이 길고 밤이 가장 짧은 날 | ||
5월 망종은 5월의 절기이고, 하지는 5월의 중기이다. 버마재비〔農螂〕가 생기고, 왜가리가 울기 시작하며, 지빠귀〔反舌〕가 울음을 멈추고, 사슴의 뿔이 떨어진다. 매미가 울기 시작하고 반하(半夏: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까무릇)의 알이 앉는다. | ||||
유월 |
7월 7일경 |
소서(小暑) |
이 때부터 본격적인 더위에 접어듦 | |
7월 23일경 |
대서(大暑) |
태양의 황경이 120도가 되는 때. 더위가 최고조에 달함 | ||
6월 소서는 6월의 절기이고, 대서는 6월의 중기이다. 더운 바람이 불고 귀뚜라미가 벽에 다니며, 매가 사나워지고, 썩은 풀이 화하여 반딧불이 된다. 흙이 습하고 더워지며, 큰 비가 때때로 내린다. | ||||
가을 |
칠월 |
8월 7일경 |
입추(立秋) |
태양의 황경이 135도일 때. 가을에 접어듦 |
8월 23일경 |
처서(處暑) |
아침 저녁으로 선선해지기 시작함 | ||
7월 입추는 7월의 절기이고, 처서는 7월의 중기이다. 서늘한 바람이 불고 이슬이 내리며, 쓰르라미가 울고 매가 새를 많이 잡는다. 천지가 쓸쓸하여지기 시작하고 벼가 익는다. | ||||
팔월 |
9월 8일경 |
백로(白露) |
이슬이 내리고 가을 기운이 완연히 나타남 | |
9월 23일경 |
추분(秋分) |
태양이 추분점에 이르러 주야 길이가 같게 됨 | ||
8월 백로는 8월의 절기이고, 추분은 8월의 중기이다. 기러기가 날아오고, 제비가 돌아가며, 뭇새들이 먹이를 저장하고, 우뢰가 소리를 거둔다. 겨울철 땅 속에서 잠을 자는 벌레들이 흙으로 창을 막고, 물이 마르기 시작한다. | ||||
구월 |
10월 8일경 |
한로(寒露) |
공기가 차차 차가워지고, 초목에 찬 이슬이 맺힘 | |
10월 24일경 |
상강(霜降) |
이 때부터 서리가 오기 시작함 | ||
9월 한로는 9월의 절기이고, 상강은 9월의 중기이다. 기러기가 날아오고, 참새가 큰물〔大水〕에 들어서 조개〔蛤〕가 되며, 국화가 노랗게 꽃피고, 승냥이가 짐승을 잡는다. 초목이 누렇게 낙엽지고, 땅 속에서 잠을 자는 벌레들이 모두 땅 속으로 들어간다. | ||||
겨 울 |
시월 |
11월 7일경 |
입동(立冬) |
겨울이 시작됨 |
11월 22일경 |
소설(小雪) |
이 때부터 점점 겨울 기분이 남 | ||
10월 입동은 10월의 절기이고, 소설은 10월의 중기이다. 물이 얼기 시작하고 땅이 얼기 시작하며, 꿩이 큰물로 들어가서 조개〔蛤〕가 되고, 무지개가 걷혀서 나타나지 않는다. 천기(天氣)는 상승하고, 지기(地氣)는 하강하여 폐색(閉塞)되어 겨울이 된다. | ||||
동짓달 |
12월 8일경 |
대설(大雪) |
태양의 황경이 255도일 때. 눈이 썩 많이 옴 | |
12월 22일경 |
동지(冬至) |
태양이 가장 남쪽으로 기울어지고, 밤이 길고 낮이 가장 짧음 | ||
11월 대설은 11월의 절기이고, 동지는 11월의 중기이다. 할단새〔覺菊〕가 울지 않고, 범이 교미를 시작하며, 여지(旣枝:무환자 나뭇과의 상록교목)가 돋아나고, 지렁이가 교결(交結)한다. 고라니의 뿔〔渡角〕이 떨어지고 샘물이 언다. | ||||
섣달 |
1월 5일경 |
소한(小寒) |
겨울이 한고비에 접어들어 몹시 추움 | |
1월 20일경 |
대한(大寒) |
태양의 황경이 300도가 되는 때. 추위가 최고조에 달함 | ||
12월 소한은 12월의 절기이고, 대한은 12월의 중기이다. 기러기가 북으로 돌아가고, 까치가 깃을 치기 시작하며, 닭이 알을 품는다. 나는 새가 높고 빠르며, 물과 못이 두껍고 단단하게 언다. |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사 선생의 잠언(箴言) (0) | 2011.03.14 |
---|---|
연령대별 별칭 (0) | 2011.02.15 |
표암재(瓢巖齋) 나들이 (0) | 2010.08.15 |
아호(雅號)에 대하여 (0) | 2010.07.10 |
대보름세시풍속 (0) | 2010.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