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 한종한 화백 작 찬구슬 맑은보배)
爲人賦嶺花 (위인부령화)
(고개위의 꽃을 읊다)
毋將一紅字 (무장일홍자)
泛稱滿眼華 (범칭만안화)
華鬚有多少 (화수유다소)
細心一看過 (세심일간과)
해의 (解義)
붉을 홍 한 글자 만을 가지고
눈에 가득 찬 꽃을 일컫지 말라
꽃술도 많고 적음이 있으니
세심하게 하나하나 살펴보게나
조선 후기 실학자 박제가의 시 입니다.
꽃이라고 하면 으레 붉다고 생각하지 말라고 합니다.
세심하게 살펴보면 다양한 모습과 색을 지녔음을 말합니다.
편견으로 세상을 보지 말고 저마다의 독특한 모습을
인정하고 이해해주길 바라는 실학자다운 마음입니다.
오래된 시 한 편이 지금세태를 평한듯 합니다.
생각의 틀을 깨고 여유롭게 바라본다면
다양한 생각과 모습들을 마음에 담을 수 있습니다.
이해의 폭이 커질수록 오해는 줄어들고 갈등은 해소됩니다.
모두가 붉을 수는 없습니다.
형형색색의 꽃밭이 더욱 아름다운 것처럼
각자에게 주어진 색깔로 곱게 빛날 때 세상은 아름답습니다.
세심하게 살펴서 각기 다름을 인정하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작금의 세태를 살펴 보노라면
위정자들에게 이 시를 읽게 해야겠습니다
나라가 좀 평온해 졌으면 좋겠습니다
'한시모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화행 (折花行) (0) | 2021.04.28 |
---|---|
삼고초려 (0) | 2020.10.07 |
춘탄정 원운 (春灘亭 原韻) (0) | 2020.01.13 |
어묵(語嘿)/ 상촌 신흠(申欽) (0) | 2019.09.28 |
和七夕韻(화칠석운) (0) | 2019.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