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苦)란 무엇이며, 그 원인은 어디있으며, 고가 없는 이상적인 상태는 어떤 것이며,
어떻게 고를 멸해야 하는가를 4단계로 나누어서 설한 것을 사성제(四聖諦)라고 합니다.
즉 고.집.멸.도.이며 고통의 원인이 집착 또는 갈애(渴愛)요 탐욕이라 했습니다.
고통을 소멸시키는 수단이 사성제의 끝부분인 도(道) 즉 팔정도로 연기관계를 밝힌 것이지요.
고 - 괴로움, 생로병사와 근심, 슬픔, 번민, 걱정,
미운 이와 만나는 괴로움 (怨憎會苦),
사랑하는 이와 헤어지는 괴로움 (愛別離苦),
구해서 얻지 못하는 괴로움 (求不得苦)
색수상행식의 5음이 극성하는 괴로움 (五陰盛苦)
집 - 괴로움의 원인이 되는 집착
멸 - 괴로움의 사라짐
도 -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진리, 구체적으로는 팔정도를 가리킴.
이것도 저것도 모두 욕심을 내고 갖고 싶다는 마음이 한도끝도 없이
불길처럼 타오르는 욕망 때문에 고가 생긴다는 것입니다.
이를 불교에서는 갈애(渴愛)라고 표현합니다.
목마른 자가 결사적으로 물을 구하고자 하는 치열한 욕구, 즉 탐욕을 표현하는 말입니다
팔정도 (八正道) = 계, 정, 해,
고뇌를 극복하고 편안함에 이르는 길을 도제(道諦)라고 합니다.
석존은 고뇌를 극복하고 이상의 경지인 열반에 이르기 위한
수행의 방법으로서 8가지의 길을 설했습니다. 이를 팔정도(八正道)라하고
이 팔정도는 곧 중도(中道)를 뜻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또한 팔정도는 계·정·혜로 나눠 불교의 기본 실천윤리가 되는것입니다.
-정견 (正見):바른 견해
|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드러운 얼굴 (0) | 2011.11.07 |
---|---|
미운사람을 두지말라 (0) | 2011.11.02 |
베푸는 네가지 무량심 (0) | 2011.09.27 |
나 자신에게 엄격하라 (0) | 2011.09.20 |
사람이 들고 나는 이치 (0) | 2011.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