貪得者分金,恨不得玉.封公,怨不受侯,權豪自甘乞개.
탐득자분금,한부득옥.봉공,원부수후,권호자감걸개.
知足者黎羹,旨於膏粱.布袍,煖於狐학,編民不讓王公.
지족자려갱,지어고량.포포,난어호학,편민불양왕공.
탐욕이 많은 자는
금을 주면 옥 없음을 한탄하고
공의 자리에 앉히면
제후가 되지 못한 것을 불평한다.
이는 권세와 부귀의 자리에 있으면서도
거지 행세를 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명아주국도 고기나 쌀밥보다 달게 여기고
베옷도 털옷보다 따뜻하게 여기느니
평민 일지언정 왕공을 부러워하지 않는다.
2008년8월7일 채근담에서 의암 이 상 원
* 원문의 "개"와 "학" 해당한자가 컴에 탑재되지 않아서 한글로 표시했답니다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자행의 아홉가지 실행 (0) | 2008.09.01 |
---|---|
법정스님의 법어 중에서 (0) | 2008.08.29 |
참다운 친구의 길 (0) | 2008.07.17 |
아직도 군자(君子) 는 있는것인가 ? (0) | 2008.07.09 |
애착과 근심은 함께있다 (0) | 2008.07.07 |